유수율이란 정수장에서 생산된 양 즉, 정수 수입량의 총수량에 대한 요금으로 부과되는 수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유수율을 산정하는데 있어 기준이 되는 총량을 총급수량으로 정의하며, 유수수량 및 무수수량 등 세부 성분별 분석을 총괄 수량 수지 분석이라 일컫는다.
유수율의 분석
유수율은 지역의 크기와 무관하게 계산되는 비율임에 따라 유수율 제고 사업 시 지역의 규모나 물 사용량 등의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수율 분석의 의미는 총급수량 대비 유수수량의 비율의 백분율(%) 개념과 더불어 누수량 저감의 목표가 되는 무수수량을 분석하는 것까지 포괄한다.
유수율 분석의 목적은 배급수 관망에서 공급되고 있는 총급수량 중 수익 되는 물량을 정확히 산정하고, 블록시스템으로 구축된 소 블록 단위의 유수율 분석을 통해 전략적으로 유수율 제고 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다. 전체 관망 시스템 중 유수율이 낮은 구역뿐만 아니라, 무수수량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구역을 분석하므로 사업 추진의 우선순위를 선정해주므로 효율적인 유수율 제고 사업추진을 유도하는 데 목적이 있다.
(1) 국외 유수율 분석체계
관망 분야 기술 발전에 가장 선두라고 할 수 있는 영국과 그 외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선진국의 경우, 유수율과 같은 비율개념의 분석지표를 누수량 수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무수율로 사용하고 있으며, 객관적 누수 상태 비교분석 및 전략적인 유수율 제고 방안 수립을 위하여 "량"개념의 지표를 사용하고 있다. 무수수량 또는 누수량을 관망크기(관로연장 또는 급수전수)별로 산정하여 문제 구간에 대한 유수율 제고 전략의 기본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가. 시설 누수 지표(ILI)
시설 누수 지표는 관망에서 발생하는 누수량에 대한 통제를 위해 관망이 얼마만큼 잘 관리되었는지에 대해 판단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이다. ILI는 1년간 허용 누수량과 1년간 현재 누수량의 비율로 산정되며, 단위가 없어 국가 간 또는 지역별 서로 다른 관망에 대해 누수 상태를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나. 관망크기당 누수량 및 년간 생산량분석
국제물환경학회(IWA)에서는 관로 길이당 누수량, 급수전당 누수량을 누수 관리 수행지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유수율 제고를 위한 계획수립 시 초기 단계에서 생산량 분석을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단기 누수 관리를 위해서는 구역별 야간 최소유량을 측정하여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실제 발생하는 누수량을 산정하기 위해 관망 전체를 대상으로 1년 단위로 생산량 분석을 통해 무수수량을 산정하고, 무수수량을 구성하고 있는 계량기 불감수량, 부정 사용량, 실 누수량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있으며, 야간 최소 유량측정, 파열 빈도, 누수 지속시간 분석 및 수리모델링 등을 통해 명목 손실량과 누수량을 비교하고 분석하여 결정하고 있다.
(2) 국내의 유수율 분석체계
환경부에서 제시하는 '총괄 수량 수지 분석'에 따라 연말 각 지방 상수도별 작성을 의무화하여 관리하고 있다. 총괄 수량 수지 분석의 세부 성분은 국제물환경학회에서 제시되는 생산량 분석 체계와 동일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국외 선진국에서 관리하는 누수 관련 지표와 비교 시, 국내의 경우 무수수량 또는 누수량을 관리하는 지표가 없고 총급수량 대비 유수수량의 비율개념으로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며, 월 단위로 요금자료가 생성됨에 따라 분석 주기는 월 단위로 시행하고 있다.
※백분율 단위의 유수율 분석 시 문제점
1. 소 블록 단위의 무수수량 또는 누수량 분석 곤란
2. 유수수량의 증가에 따른 유수율 증가에 대한 원인분석오류 발생
3. 무수수량 또는 누수량에 대한 목표 저감량 계획수립 부재
4. 분석 주기가 1개월 단위로 한정되어 있어 적극적인 누수 방지대책 수립 불가
5. 관망 크기에 따른 누수 상태 비교분석 불가로 문제 구간 선정 및 관망 정비 우선 순위 결정 시 문제발생
6. 일별 누수 발생 감시 및 원인분석과 사업추진 후 효과분석 곤란
단계별 유수율 분석
유수율 분석은 크게 3가지의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업 운영 초기 시 대상지역의 지방상수도에 대한 초기 유수율 확정에서 블록시스템 구축 전, 후 단계에서 시행되는 유수율 분석 단계로 나누어진다.
(1) 초기 유수율 확정
초기 유수율은 목표 유수율을 달성하기 위해 관망의 현재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정하고 얼마만큼의 유수율을 제고 및 관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지표이다. 따라서, 정확한 유수율 상태를 확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수율 과거 자료, 유량계 상태 및 측정장소 등 세부적인 조사계획을 수립한 후 적정한 기간 동안 측정, 분석을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가. 유수율 현황조사
- 급수 체계에 따라 유수율 산정 방법 및 측정지점 등이 상이하므로 지자체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한 뒤, 필요시 측정지점 변경 등을 검토
- 초기유수율 확정을 위하여 실제 일정기간 측정을 시행하기 전, 과거 유수율 정보를 통계지 또는 지자체 관리대장 등으로부터 입수하므로 개략적인 유수율 상태를 조사
나. 초기 유수율 조사계획 수립
- 자체 및 광역을 혼재되어있는 경우, 상기 기준의 물량의 합을 총급수량으로 기준으로 한다.
- 광역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경우, 광역 분기 유량을 기준으로 한다.
- 자체 정수장으로부터 공급되는 관망시스템의 경우, 정수장에서 송수되는 물량을 총급수량으로 기준으로 한다.
- 총급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조사 대상 설비는 유량측정 설비이며, 유량계가 없는 경우 설치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는 유수율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와 국내외의 분석체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자세한 유수율 관리에 대해서는 2편에서 만나기로 해요!
'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목인이라면 모를 수 없는 굴착공법의 기본! 가설 흙막이 공법에 관하여 (0) | 2022.08.28 |
---|---|
누수저감 및 절수기 교체를 통한 물 절약량 산정 -3편 (0) | 2022.08.26 |
누수저감 및 절수기 교체를 통한 물 절약량 산정 -2편 (0) | 2022.08.25 |
누수저감 및 절수기 교체를 통한 물 절약량 산정 -1편 (0) | 2022.08.24 |
감리CM본부에 관하여 (0) | 2022.08.22 |
댓글